충분한 수면은 피로 회복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필수적이다. 성인은 하루에 7~9시간의 수면이 필요하며, 이 시간이 부족하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우울증과 불안증 같은 정신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면역 기능 저하 및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다양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수면무호흡증은 치료하지 않을 경우 뇌졸중과 심근경색 같은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불규칙해지거나 일시적으로 멈추는 증상으로, 기도가 좁아져 공기 통과가 어려워지면서 발생한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면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는 심장마비의 발생 가능성이 40% 증가한다.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는 폐 기능 약화, 안면 골격 이상, 신경학적 장애, 비만 등이 있으며, 치료법으로는 수술, 양압호흡기 치료, 구강 내 장치 치료가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교정도 가능하다. 적당한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체중을 관리하고, 술과 카페인 섭취를 줄이며 금연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잠잘 때는 똑바로 누워 자는 것보다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혀가 기도를 막지 않도록 돕고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준다.